달력

5

« 2025/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2012. 4. 19. 12:23

7막 7장 - 홍정욱 (3) 책 속 여행2012. 4. 19. 12:23

이거 읽는 속도가 더디어지는 건

읽을 때마다 적어야 하는 게 귀찮아져서...

적는 것까진 괜찮은데

읽는 중간중간 끊어지는 게 오히려 몰입을 방해한다.

 

일단 적어둔 종이를 처분하기 위해

아주 조금 읽었지만 포스팅하기로 한다.

 

 

 

로망 롤랑.

알베르 카뮈 [이방인]

(이 책은 내가 대학 때 내 인생 한 권의 책으로 발표한 적도 있는데 실은 그다지 좋아하지 않는다.

그냥 제목이 마음에 들었을 뿐이다.)

하이데거.

 

…시간을 앞서간다는 것은 고통이 아닐까 언제나 이상과 현실 속에서 방황하지만 내게 남는 건 무일 뿐, 요즘은 도저히 세상과 타협을 할 수 없을 것만 같다……

  신은 내게 지나친 감성과 욕심을 주셨으면서 왜 그것을 통제하고 등 돌릴 수 있는 힘은 주시지 않았는지

현실에 노예가 되어버린 나에게는 형벌처럼 고통스럽기만 하다 어쩌면 시간이란 함께 공유하는 것이 아니라, 각자의 절대적인 시간이 제각각 소유되어지는 것 같은 생각이 든다 모든 사람이 한 번씩 거쳐가는 고통의 사간, 이것을 외면한다면 결코 세상에 눈뜨지 못할 것임을 잘 안다 하지만 요즘은 어두운 밤의 별마저도 내게는 구속이라는 느낌이다 대학이라는 관문, 그것을 뛰어넘기 위해 이렇게 밤과 싸우고 있어야 하는 것인지 난 모르겠다…

 

버지니아 울프 '자유를 만끽하기 위해서는 먼저 스스로를 통제할 줄 알아야 한다'

고뇌는 의식의 유일한 증거라고 한 도스토예프스키의 말.

 

학교는 교육을 목표로 하는 특수 성격의 기관이므로 그 목표에 맞도록 학생들을 이끌어주고

지도해가야 할 의무와 책임이 있다.

 

동료는 고통의 슬픔을 경감한다는 뮐러의 가르침을 부인하게 된 나로서는 정신적으로 건강한 상태에서 나의 기쁨만을 나눠주는 관계가 가장 바람직한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다.

 

:
Posted by 휘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