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5/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무용은 몸의 움직임을 통해 무용수가 전달하고자 하는 바를 표현하는 동작 예술이다. 그런데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에 대해 반응하고, 이를 표현하는 방법은 객관적이거나 주관적일 수 있다. 객관적이냐 주관적이냐 하는 것은 경험이 인간으로부터 외부를 향해 있는가 아니면 외부에서 인간 자신에게로 향해 있는가에 의해 결정된다. 객관적인 방법은 대상, 즉 자극의 원인에 보다 많이 관련되어 있다. 반면 주관적인 방법은 원인을 발생시키는 정신 상태에 보다 깊이 관련되어 있다. 즉, 전자는 사물이나 사실에 후자는 의미나 감정에 보다 많은 관련을 가지는 것이다.
  경험을 다루는 방법들이 이와 같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그들 방법을 사용하는 태도를 설명할 때, '묘사적' 혹은 '표현적'이라는 용어를 쓴다. 묘사적인 방법은 지성과 이성에 보다 직접적으로 호소하는 태도이다. 이는 사실주의적인 묘사의 경향을 취하며, 관찰자를 자극하여 대상이나 사물을 주제로 받아들이게 한다. 그러므로 경험에 대한 주관적 태도 속에서 포착되는 미묘한 함축성이 담긴 부대적인 의미보다는, 사실적인 의미가 그 내용을 이룬다. 묘사적인 방법은 명확하고 현실적인 요소를 보다 많이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무용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관객들에게는 대체로 묘사적인 형식의 무용을 소개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표현'은 보다 간접적이며 어떤 것에 대한 지식보다는 느껴진 가치에 관련된 것이다. 묘사적인 무용일수록 의미가 즉각 파악되는 반면 표현적인 무용은 상상을 통해 의미가 이해된다. 또한 묘사적 무용이 어떤 정서적 반응을 불러일으키는 특정 상황에 관심을 두고 있는 반면에, 표현적 무용은 동기에 관계없이 정서를 직접 표출하는 데 주안점을 둔다. 그러나 때떄로 표현적 무용은 연상을 통해 줄거리나 상황을 암시함으로써 구체적인 해석을 가능하게 하기도 한다.
  훌륭한 무용 작품을 구성하는 데 있어 이 두 가지 양식은 필수적인 요소이다. 현실성을 잃지 않으려면 실제 경험의 준거로서 어느 정도의 묘사는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미적인 특성을 잃지 않기 위해 표현적인 요소도 있어야 한다. 그러나 묘사는 의미 파악에 필요한 정도로만 사용되어야 한다. 묘사와 표현의 사용 비율은 무용의 주제, 목적, 무용수의 예술적 능력에 따라 결정된다. 이 두 가지 방법이 모두 예술적 표현의 기회를 제공해 준다.
+
  작품 무용은 최고로 발달된 형식의 무용으로, 무용의 동작들은 내용을 전달하는 데 있어서 회화, 문학 혹은 연극적 수단에 별로 의존하지 않고, 감동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단지 자기 자신의 능력에만 의존할 뿐이다. 다시 말하면, 관객은 음악이나 무대 장치 혹은 무용수가 입은 의상에 의해서가 아니라 무용수의 동작을 통해 의미와 가치를 상상하고 미적 체험과 감동을 느끼게 된다.


해제: 무용을 두 가지, 즉 표현적 무용과 묘사적 무용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는 글이다. 글쓴이는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사건에 반응을 하는 방법으로 객관적 방법과 주관적 방법이 있다고 설명한 후, 이를 무용에 적용하여 사실주의적 경향을 취하여 세상을 객관적으로 묘사하고자 하는 묘사적 무용과, 이성이나 지성보다 상황을 받아들이는 주관적 감정을 표현하고자 하는 표현적 무용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마지막 문단에서는 어느 한쪽의 입장만을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 표현적 무용과 묘사적 무용의 요소가 적절하게 조화를 이룸으로써 예술적 표현이라는 커다란 목적을 이룰 수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주제: 묘사적 무용과 표현적 무용의 개념 및 의의

:
Posted by 휘란